주거 관련 비용을 감당 세전 소득의 30%까지

By Karen Lee, in Uncategorized on .

월 소득 중 모기지에 얼마를 쓰는 게 적절할까? 전문가들은 개인의 소득, 부채, 주택 가격, 대출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일반적으로는 ‘28/36 규칙’이 대표적인 기준이다.

이 규칙에 따르면 세전 월소득의 28% 이내에서 모기지, 재산세, 보험, 관리비 등 주거 관련 비용을 감당해야 하며, 모든 부채 상환액은 소득의 36%를 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세전 월소득이 8,000달러라면 주거비는 2,240달러, 전체 부채는 2,880달러를 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다.

금융기관도 이 비율을 근거로 대출 한도를 산정한다. 주거비 비중이 28%를 초과하면 대출 승인이 어렵거나, 더 많은 다운페이먼트나 높은 신용점수를 요구받을 수 있다.

다만 지역이나 개인 상황에 따라 다소 유연하게 적용된다. 세후 소득의 25%를 기준으로 하거나, 주택 가격이 높은 대도시에서는 세전 소득의 30%까지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소득자이면서 부채가 적다면 35% 수준까지 인정되기도 한다.

연방 주택도시개발부(HUD)는 주거비가 세전 소득의 30%를 넘으면 ‘비용 부담 가구’, 50%를 넘으면 ‘심각한 비용 부담 가구’로 분류한다. 이는 식비·의료비 등 필수 지출을 줄여야 하는 재정 압박 상태를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비율만 볼 게 아니라 전체 재정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생활비가 빠듯하다면 주거비 비중을 낮추거나, 필요하면 더 작은 집으로 옮기는 ‘다운사이징’도 고려할 만하다. 결국 중요한 것은 장기 재무 목표와 조화를 이루는 합리적인 주거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출처 한국일보 10/23/2025 조환동 기자

http://www.koreatimes.com/article/1586116

Recommend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