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칼럼]상전벽해의 인랜드 엠파이어

[부동산 칼럼]상전벽해의 인랜드 엠파이어

변무성 뉴스타부동산 랜초쿠카몽가 명예부사장  미국 전체에서 최대 인구를 자랑하는 캘리포니아주는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주이며 연방정부는 향후 27년 내에 가주인구가 1800만명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제임스 앨런 교수는 새롭게 늘어나는 거주자들이 더 많은 교육 욕구와 기회가 더 많은 봉급과 경제적 소비로 이어질 것을 예견했다. 많은 이주자들이 가주에서 정착할 곳은 크게 두 지역으로 San Bernadino지역과 Riverside County, 그리고 Bakersfield부터 Sacramento까지 급속하게 도시화하고 있는 Central Vally 등 점차 LA 외곽지역이 발전할 것이다. 이는 필자가 수차례에 걸쳐 LA동부 인랜드 엠파이어 지역을 소개한 이유이기도 하다.  선견 지명을 가진 분들, 부동산에 대한 재치나 감이 있으신 분들은 이미 30여년 전에 인랜드 엠파이어에 터를 잡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지 않은가 생각한다.  ‘상전벽해’, 이 말은 인랜드 지역의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한 말이기도 하다.  Mount Baldy, 그 아름다운 산 아래 있는 동네 클레어몬트는 LA다운타운에서 동쪽으로 약 35마일 떨어진 인구 3만6000여명의 작은 도시이며 클레어몬트는 ‘나무와 박사의 도시’로 유명하다.  시 공유지에만 3만여 그루의 나무가 심어져 있으며, 22년 연속 ‘Tree City USA’ 를 수상한 경력이 있으니 말이다. 그리고  전체 주민 중 1만여명이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박사의 도시라고 불린다. 랜초쿠카몽가는 샌버나디노 카운티에서도 가장 주목 받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시 인프라가 탄탄하고 베드룸 타운이 아니라 도시 내 학교, 병원, 공원 등 복지시설, 환경시설 등이 있으며, 또한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일자리도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다.  주요 교통허브인 온타리오 국제공항 및 프리웨이와 근접해 있어 코카콜라, 농심, LG,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 프리토 레이 (Frito-Lay), 유명 제약회사 등 미국 내 최대 기업들이 포진해 있다. 이스트베일은 1990년대 후반까지도 유제품 농장과 농경지였다.  인근 오렌지카운티와 LA카운티의 주택난 해소의 일환으로 베드룸 타운으로 개발됐으며,  2000년대 초 활발한 주택 개발 붐을 타고 2012년 독립시로 승격됐다.   그래서 대부분의 집들이 새집에 가까운 것도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많은 웨어하우스를 건설해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일자리도 다양해져 확실한 독립도시로 탈바꿈하게 되었으며, 특히 아마존의 웨어하우스를 유치하는 등 시정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지역이다….

By Ashley Kim, in 컬럼 모음집 on .

[부동산 칼럼]미국 부동산 소유권의 형태

[부동산 칼럼]미국 부동산 소유권의 형태

애니 윤 뉴스타부동산 풀러튼 에이전트  미국에서 부동산 소유권의 형태와 방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애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미국에서 집을 구입하거나 부동산에 투자할 때 반드시 알아둬야 할 내용 중 하나이다.  부동산 소유권, 혹은 이를 증명해 주는 공식 문서를 타이틀이라고 하는데 미국생활에서 의외로 자주 접하는 단어 중 하나이며 부동산과 동산의 경우에 모두 사용된다.  소유권의 형태는 다른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각 주법의 지배를 받고 있다.  부동산 소유권의 형태는 크게 단독소유(Sole Ownership and Separate property), 단독소유는 말 그대로 한 사람의 자연인이나 하나의 법인, 혹은 법에서 인정하는 하나의 개체가 소유권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한명 이상의 사람이나 하나 이상의 개체가 부동산을 함께 소유하는 형식의 공동 소유가 있다. 공동소유에는 법적으로 몇가지 정해놓은 형태에 따라서 매매, 융자, 세무, 이혼, 상속시 각각 다른 소유권 변화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을 공동 소유할 때에는 각 소유형태에 따른 법률적 특징을 잘 이해하고 본인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소유권의 설정은 부동산 구입시 에스크로 클로징 때 받게 되는 부동산의 양도문서에 본인들이 선택한 소유권의 형태를 기입해야 한다는 뜻이다….

By Ashley Kim, in 컬럼 모음집 on .

발치에 찬바람… 이불 꼭꼭 덮으세요

LA카운티 일부에 한파주의보 산악지역은 32도까지 떨어져 한인타운도 밤 기온 45~48도 추수감사절 연휴까지 찬바람 샌타클라리타 밸리 등 LA카운티 일부 지역에 한파주의보가 내려졌다. 국립기상청(NWS)은 내주 초까지 남가주 일대에 추위가 계속될 것이라며 체온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한다고 조언했다. NWS는 샌타클라리타 밸리의 산간 지방에는 15일까지 강한 바람이 불며 체감온도가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32도(섭씨 0도)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예보했다. 앤텔로프 밸리의 랭캐스터와 LA의 산악지역 마운트 윌슨 등에도 16~18일까지 한파의 영향이 이어지겠다. 최대 시속 30마일의 샌타애나 강풍이 몰고온 한랭 전선이 남가주 일대를 뒤덮으며, LA 인근도 쌀쌀한 초겨울 날씨를 보이겠다. 낮 기온은 71~73도를 오르내리지만, 밤에는 40도대로 뚝 떨어진다. 이같은 날씨는 추수감사절(24일) 연휴까지 계속된다. 대체로 청명한 하늘이지만, 다음 주초인 21~23일 사이는 간간이 구름 낀 날씨가 예보됐다. 오렌지카운티는 이 보다 조금 높은 기온이 예상된다. 낮 최고는 70~75도로 비슷하고, 밤에는 51~54도로 내려가지만 LA보다는 다소 마일드한 날씨를 보이겠다. LA카운티 보건국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가 있거나 특별한 의료 조치가 필요한 주민들을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부 활동을 줄이고, 주변의 대피소나 공공시설과 같이 따뜻한 장소를 이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By Ashley Kim, in Uncategorized on .

[부동산 칼럼]팜데일, 랭캐스터 20탄

[부동산 칼럼]팜데일, 랭캐스터 20탄

백기환 뉴스타부동산 발렌시아 명예부사장  여행사들이 관광 코스로 많은 지역을 선정해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  그 중에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앤텔롭 밸리 캐년도 빠지지 않고 꼭 구경해야 할 여행지 중 하나로 포함된다. 이름이 같아서인지 많은 한인들이 팜데일, 랭캐스터가 위치한 앤텔롭 밸리와 애리조나주의 앤텔롭 밸리를 종종 헷갈려 한다.  물론 지역이 다르며 LA카운티의 앤텔롭 밸리는 야생 파피 꽃밭으로 유명하다.  보통 3월 중순에서 4월 초순까지 피는 야생 파피꽃은 양귀비꽃의 일종으로 캘리포니아주를 대표하는 ‘주화(State Flower)’ 이기도 하며 해당 지역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됐다. 랭캐스터 서쪽 앤텔롭 밸리 파피 보호구역은 드넓은 능선과 들판에 해마다 오렌지빛으로 물들어 파피꽃의 향연이 펼쳐진다. 그런데 작년과 재작년에는 코로나 19 팬데믹로 인한 자택 대피령으로 파피꽃을 보러 가기가 힘들었으나,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가능할 것 같다. 또한 근처에 있는 라이트닝 볼트 트레일(Lightning Bolt Trail)은 가족 또는 연인과 수퍼 블룸(Super Bloom)을 감상하면서 산행를 하기에 제격이다.  앤텔롭 밸리 방문자 센터(Jane S. Pinheiro Interpretive Center; 150th St W, Lancaster, CA 93536)를 방문하면 다양한 파피꽃에 대한 정보와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LA에서 북동쪽으로 약 1시간 50분 거리에 있는 팜데일과 랭캐스터가 위치한 앤텔롭 밸리로 약 가다 보면 아구라 둘세 지역이 나오는데 이 지역은 수만 년 전에 발생한 대규모 지형 이동으로 주변의 땅이 솟아오른 자연 그대로의 멋진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마치 지구 밖의 세계에 온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켜 해마다 수많은 여행객들이 방문하는 지역이다. 종종 영화 촬영 장소로도 활둉되는 곳이기도 하다. 매년 5 ~ 6월 앤텔롭 밸리 인근 레오나 밸리에서는 체리 농장들이 수확기에 맞추어 특별 행사를 열기 때문에 수많은 방문객들이 찾아 하루를 즐기는 유명한 지역이기도 하다.  자연적이고 전원적인 분위기와 다르게 방산 업체들이 모여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유명한 연방우주항공국(NASA), 에드워드 공군기지(Edward Airforce Base),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등과 같은 대규모 방산업체들이 몰려 있어 외부 엔지니어들이 유입되면서 크게 발전하는 희망의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아마존의 대규모 물류센터가 팜데일에 자리를 잡으면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했다. LA에서 팜데일까지는 50마일, 랭캐스터까지는 62마일 정도 된다.  아침 출근 시간에 캐년 컨트리까지 오는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5번 프리웨이와 405번 프리웨이가 갈라지면서 만나는 곳까지는 트래픽이 심한 편이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움직이려면 버겁지만 북쪽은 상당히 원활한 편이다. 팜데일에서 빅터빌로 이어지는 138번 도로가 현재 구간별로 확장 보수 공사를 하고 있다. 해발 2000~2500피트(660~750m)의 고지대 맑은 공기를 자랑한다. 그리고 자연이 제대로 보존되어 있다. 지역 중간에 있는 큰 호수에서는 여름에 수상스키 같은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단점 중 하나는 여름철에 날씨가 덥다는 것이다. 낮 최고기온이 화씨 110도에 육박할 때도 있다.  겨울철은 타 지역에 비해 제법 추운 편으로 뚜렷한 사계절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상큼한 바람이 부는 가을시즌이다. 대면근무와 재택 근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생활이 적합한 지역으로 첫 주택 구입 바이어에게는 매력적인 지역이 아닐 수 없다. 문의  (310)408-9435 [출처 조선일보] https://chosunlatimes.com/bbs/board.php?bo_table=hotclick&wr_id=10122&sca=%EB%B6%80%EB%8F%99%EC%82%B0

By Ashley Kim, in 컬럼 모음집 on .

[부동산 칼럼]부를 쌓는 부동산 투자, 부채를 이용한 부동산 투자

[부동산 칼럼]부를 쌓는 부동산 투자, 부채를 이용한 부동산 투자

애니 윤 뉴스타부동산 풀러튼 에이전트  일반적으로 빈부의 차이는 돈을 어떻게 벌어 어떻게 투자를 하느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중상층을 포함한 대부분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수입이 근로소득이다. 그리고 이들은 돈을 많이 벌어도 대부분은 지출이 크다.  그들은 투자를 많이 하지만 자산가치가 상승하는 것에 투자를 하지 않고, 하락하는 자산에 투자를 많이 하기 때문에 사실상 부자들에 비해 세금을 많이 내고 있다.  즉 이것은 이들이 돈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줄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부자들은 어떻게 돈을 사용해서 부를 쌓고 있을까? 부자가 되려면 우리는 부자들의 습관을 배우고 따라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먼저 일반인들이 선소비, 후투자를 하는 반면, 부자들은 선투자 후소비를 한다. 그리고 부자들은 돈의 가치를 현재의 가치로 계산하지 않고 미래의 가치로 계산을 한다.  예를 들어 매년 2%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가정할 때 10년 후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현금의 가치가 20%로 떨어진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자들은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호하지 않고, 현금을 저축하는 것도 선호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이러한 현금 가치가 떨어지는 것(헷지)을 감안해서 부동산이라는 자산에 투자를 해 본인의 자산을 보호하려고 한다. 이것이 돈의 헷지 전략이다. 여기서 한국 부동산 투자와 미국 부동산 투자를 비교해 보면 한국 부동산 투자는 자본이익, 즉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으로 이익을 만든다. 허나 이것은 팔아서 세금을 내고 나면 남는 것이 적다. 반면에 현금 흐름에 중점을 두는 미국 부동산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자산을 보유하면서 현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승된 자산가치를 활용하여 재융자를 통해 캐시아웃 방식으로 투자한 자본금을 회수하고, 회수한 돈을 다시 재투자로 수동 소득을 창출해 자산을 배로 늘리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지속적인 현금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부동산 투자를 위해 염두해야 둬야 할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인구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50개 주 가운데 각 주마다 인구 순환 주기가 다르다. 그리고 인구의 유입과 빠지는 경우에 따라 자산의 가치가 많이 좌우된다는 것도 인지해야 한다.  즉 미국 부동산 투자에 있어 지역선정은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핫 포인트’라는 것이다.  한인들의 경우 보통 편리한 교통, 안전한 지역, 좋은 학군 등을 최우선으로 지역을 선정하여 거주하고 있거나, 또는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미국내에서도 한인들의 움직임을 보는 것이 부동산 투자에 좋은 팁이 된다. 요즘 같은 시기에 메이저 도시인 뉴욕, LA, 샌프란시스코 등은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풀러튼, 부에나파크 등 오렌지카운티의 도시를 포함한 애틀랜타, 휴스턴 등의 도시는 인구가 많이 유입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인구가 유입되는 도시들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때문에 자산가치 투자에 유익한 도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미국에서 유일하게 부채를 활용해서 자산가치를 늘릴 수 있는 투자는 부동산이다. 자연적 자산가치의 상승이란 시장의 원리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투자의 시기는 가격이 하락했을 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문의 (657)222-7331  [출처…

By Ashley Kim, in 컬럼 모음집 on .

할리우드에 오피스-리테일 복합타워 건립 추진

할리우드에 오피스-리테일 복합타워 건립 추진

할리우드 선셋 불러바드에 건립을 추진중인 오피스-리테일 복합타워 조감도. /Urbanize LA 15층 규모, 선셋과 윌콕스 할리우드 중심부에 15층짜리 오피-리테일 복합타워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부동산 전문사이트 ‘어바나이즈LA’에 따르면 주류 부동산 개발사 ‘밀레니엄 파트너스’와 ‘쇼렌스타인 프로퍼티스’는 할리우드 6450 Sunset Blvd. 에 있는 스테이플스 매장 건물을 헐고 그 자리에 총 43만1000스퀘어피트 규모의 오피스 공간, 1만2386스퀘어피트 규모의 리테일 스페이스를 갖춘 15층짜리 건물을 짓는 계획안을 LA시 플래닝위원회에 제출, 승인을 받았다.  프로젝트는 ‘선셋+윌콕스(Sunset+Wilcox)’로 명명됐으며 유명 건축회사 겐슬러가 디자인을 담당할 예정이다. 타워는 2026년 중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

By Ashley Kim, in 부동산 뉴스 on .